본문 바로가기

운영체제2

[운영체제]파일시스템 할당 방법 Block단위로 디스크가 돌아가기 때문에 파일에 Block을 할당할 때 free block이 생긴다.Block 안의 크기를 다 못 채우고 파일이 저장되는 것 (그러면 내부단편화 현상이 생김) 이 것을 할당하는 방법에는 연속 할당, 연결 할당, 색인 할당이 존재한다. 연속 할당 : 각 파일에 대해 디스크 상의 연속된 블록을 할당하는 방법 즉, HDD에 Block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여기에 연속된 순서대로 파일을 저장한다.이렇게 하면 Read할 때 이동경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. (빠른 I/O를 가짐) 장점 :동영상이나, 음악, VOD 같이 크기가 큰데 실시간 자료에 적합하다. 단점: 특정 파일을 삭제하면 중간에 Hole이 생성한다. 즉, 컴퓨터 시스템이 외부단편화가 생겼다고 생각이 될 수 도 있다. 연속.. 2018. 6. 16.
[운영체제]메모리 단편화 (Fragmentation) 메모리 단편화 (Fragmentation) RAM에서 메모리의 공간이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져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충분히 존재하지만 할당이 불가능한 상태 내부 단편화 (Internal Fragmentation)-> Segmentation (Variable size) 메모리를 할당할 때 Process가 필요한 양보다 더 큰 메모리가 할당되어서 메모리 공간이 낭비되는 상황 (어떤 프로그램을 OS가 4kb를 할당해주었는데, 사실상 1kb만 사용하고 있을때 3kb만큼 내부단편화 발생) 외부 단편화 (External Fragmentation)-> Paging (Fixed size) 메모리가 할당되고 해제되는 작업이 반복될 때 작은 메모리 중간중간에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가 많이 존재해서 총 메모리 공간은 충분하지만.. 2018. 6. 8.